CJ제일제당 주가, 2분기 실적

경제이야기/주식|2020. 8. 12. 12:05


CJ제일제당은 제일제당공업주식회사로 삼성그룹 최초의 제조업회사였습니다. 13년전인 2007년 삼성으로부터 기업분할이 되었고, CJ제일제당을 필두로 현재의 CJ그룹이 탄생했습니다. 


오늘은 CJ그룹의 형님격인 CJ제일제당의 주가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최근 2분기 실적이 나왔는데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실적부터 보고 가시죠.


CJ제일제당 20년 2분기 실적



일단 현재 주가입니다. 역대 최고가는 45만원이었는데요. 역대 최고가까지 거의 근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전기차 관련주, 언택트관련주, 바이오 관련주에 집중하는 사이에 코로나 이후 무려 3배가 올랐네요.


이러한 주가의 흐름에는 20년 1분기와 2분기의 실적이 반영된 결과라 할수 있겠습니다 .특히, 어제는 20년 2분기 잠정 실적을 공개했는데 시장의 예측을 상회하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CJ대한통운 제외>


<CJ대한통운포함>


20년 2분기에만 매출액 5조 9209억, 영업이익 3849억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1분기와 비교했을때와 전년도 동기대비 모두 상승한 수치입니다.


1)국내 매출


국내 식품의 경우 간편식 수요 증가와 더불어 코로나로 인한 요리수요의 증가로 인해 증가했습니다.


2) 글로벌 식품  

가공식품 글로벌 비중이 계속해서 증가중입니다. 특히 냉동피나 시장 점유율에 23.6%로 크게 성장했습니다. 슈완스(미국냉동식품업체)를 2조에 인수하면서 기존 미국 법인과 슈완스와의 시너지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중입니다. 슈완스의 물류망활용, 슈완스의 소매 채널 침투 두가지 경로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중국 35% 성장, 베트남 24% 성장, 미국 19% 성장하면서 전년대비 26% 성장했습니다.


3) 바이오 및 F&C

전방산업 위축에도 불구하고 트립토판/발란의 시장 지위 강화로 인해 매출을 방어했습니다. 특히 고수익 제품 시장 지배력 확대를 통한 매출 비중 증가 및 원가개선으로 이익이 큰폭으로 증가해 사상 최대 영업이익인 1,109억원을 달성했습니다. 


F&C는 인도네시아의 육계시장 위축에도 베트남에서  高돈가가 지속되며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경신했습니다.  


*바이오 : 바이오사업 및 사료축산사업 (라이신, 핵산, 트립토판 등이있으며 사료에 첨가되어 가축의 성장을 돕는 물질)

*F&C : Feed & Care 사료사업



향후 이슈 및 주가 전망


CJ제일제당의 카테고리별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식품분야


1) 1인가구 및 밪벌이 부부 증가 

- 식품에 대한 맛과 니즈 증가

- 만두, 햇반, HMR, 김치 등 선도적인 카테고리 개척을 통해 한식의 제품 선도

- 국내가공매출 성장중 만두,김치, 햇반, HMR이 성장분의 78% 기여


→ 비비고 브랜드가 대박을 친것이 매출 확대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특히, 김치의 경우 대상의 종가집이 압도적인 1위였으나 비비고김치로 점유율을 크게 확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격차는 더 좁혀져 있다>


2) 미국 냉동식품사 슈완스 인수

-슈완스 인수에 따른 글로벌 매출 레벨업 및 케이푸드 확대 기반 구축


3) 집밥 증가에 따른 국내외 B2C 식품수요 증가


바이오 부문


1) 사료첨가제 : 중국 경쟁사 가동 재개로 경쟁강도는 심해질 전망입니다. 하지만 사육두수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개선될 전망입니다.


2) 식품첨가제 : 중국내 코로나 안정화로 외식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핵산 수요가 개선될 전망입니다.


F&C 부문


1) 사료 : 작년에 한번 수익구조를 개선한 후 큰 변동없는 이익수준이 전망됩니다.


2) 축산 : 베트남 양돈시장 사육두수 회복에 다라 점진적 판매단가 하락이 예상됩니다. 하지만 3분기까지는 전년동기대비 높은 수준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전반적으로 3분기에도 전사 매출은 증가할 예정이며 영업이익율은 7% 내외가 될 전망입니다. 



정리 


현재 제일제당의 매출 50% 이상이 글로벌 시장에서 나오는 상황입니다. 향후 중장기적 전망에 대한 글은 이전에 한번 작성한 적이 있으니 이전글을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하단에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