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입신고 인터넷
오프라인에서 전입신고를 하기 위해서는 해당 관할의 주민센터를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이럴때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할수 있더군요. 마침 제가 이사를 가게되어서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하게되었습니다. 화면을 캡춰해서 하나하나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 정부 24홈페이지에서 민원신청
# 절차 : 로그인 - 신청인 정보 확인 - 전에 살던곳 확인- 이사갈곳 확인후 민원신청
# 필요 서류 : 공인인증서
인터넷 전입신고 어디서?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직접,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전입신고라고 검색을 해도 되고, 위 사진처럼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해 접속하셔도 됩니다.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전입신고 신청코너로 이동하게 됩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
간단힌 민원정도는 비회원으로도 접수가 가능하지만, 전입신고는 공인인증서를 통한 로그인이 필수입니다.
인증을 진행해줍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으신 분들은, 우측 화면의 방식으로 복사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유의사항 확인
로그인을 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유의사항을 읽어보시고, 확인버튼을 눌러주세요.
전입신고 1~3단계 과정 진행
로그인을 완료하셨다면, 신청인정보 - 이사 전에 살던 곳 - 이사온 곳 단계를 순서대로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 1단계 : 신청인정보
전입사유를 선택한 뒤 다음단계로 넘어가줍니다.
# 2단계 : 이사 전에 살던 곳
주소를 조회해주면 됩니다. 시도와 시군구만 선택하고 주소조회를 누르면 기존의 주소지가 표시됩니다.
해당 거주지의 세대원이 표시됩니다. 이사나가는 사람을 선택해 다음단계로 넘어가줍니다.
# 3단계 : 이사 온 곳
이사온곳의 주소를 입력해줍니다.
해당사항이 있다면체크,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등은 요금이 발생하니, 본인 판단하에 선택하시고 민원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전입신고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제대로 신청이 된건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나의 신청내역 바로가기 버튼을 눌러봅니다.
현재 처리중으로 제대로 접수된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빠르면, 수시간안에 처리가 됩니다. 문자 서비스를 신청하셨다면, 전입신고 완료후 구청에서 전입을 환영한다는 문자가 발송됩니다.
전입신고 수수료 0원
수수료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우편물 이전서비스를 신청하시면 관내일경우 3000원, 관외일겨우 7000원이 부과됩니다. 19년도에는 관내일 경우 무료였는데 현재는 요금이 부과되니 참고바랍니다.